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LA한인회 역사…반세기 세월 넘어 한인사회 대표 단체로

LA한인회는 누가 뭐래도 한인사회 대표기관이다.   1대 회장단부터 현 35대 회장단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한인 인사가 몸담고 일하며 한인사회 발전에 기여했다. 한인사회에서 가장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단체로도 알려졌다. 이는 그만큼 한인회가 한인사회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중요하고 크기 때문이다. 한인회 공식 홈페이지(kafla.org)에 따르면 한인회는 주류사회와 한인사회 연결, 한인 권리와 공익 보호, 이민자 지원서비스, 분쟁 해결 및 중재 차세대 한인 지도자 양성에 나선다. 이 밖에 소비자 관련 문제 상담, 통역 및 서류작성 지원, 차세대 한인 지도자 양성, 정보제공 및 확인, 고용추천, 법률 및 사회복지 제도 상담, 세미나 및 워크샵, 사회복지 신청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느새 한인회는 60주년을 맞이했다. 한인회의 역사를 돌아본다.     1960년대: 유학생 중심으로 태동해 한인센터와 통합   1970년대: 건물 구입하고 주류사회와 본격 교류 시작 1980년대: 회장선거 문제 등으로 내분 겪으며 갈등 심화 1990년대: 한인사회와 협력해 동포 특례법 제정에 앞장 2000년대: 한때 협회 갈리고 29~35대 회장 무투표 당선 2010년~: 진정한 봉사기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총력     ▶1965년 태동 한인회는 원래 유학생 출신이 주축이었다. 1965년 5월 1일 결성한 ‘남가주 한인회’로 출범했다. 당시 LA 한인 인구는 유학생이 대부분이었다. 남가주 한인회 창립멤버는 한국에서 유학 와 1960년대 초반 UCL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조용삼씨, 육사 교관 생활을 접고 1956년 텍사스 주립대로 유학 왔던 이경동씨, 역시 유학생 출신의 김하태 목사, 애국부인회 회장을 지낸 이화목씨, 한인타운에서 주유소를 운영했던 송영창씨, 송씨 처남으로 의사였던 김창하씨, 그로서리 가게를 운영했던 유재신씨 등이 있었다.   남가주 한인회 설립 목적은 이보다 3년 먼저 창립한 ‘남가주 한인센터’(이사장 김호·회장 송철, 1962년 6월 비영리법인 등록) 지원 성격이 강했다. 한인센터는 1963년 2525 버논 애비뉴에 7만 달러를 주고 매입한 자체 건물이 있었으나 재정난으로 융자금 상환이 어려워 1967년 6월에 매각했다. 여기서 남은 4만 달러는 ‘건물 매입 때에만 사용한다’는 조건 속에 센터기금 관리위원회로 넘겨진 뒤 나중 현재의 한인회관 매입 때 종잣돈이 됐다. 회관 매각은 한인센터와 한인회 통합 계기가 됐다. 1968년 1월 남가주 한인회와 한인센터는 ‘재미한인거류민회’로 통합했다. 재미한인거류민회는 1972년 남가주한인회로 명칭을 변경했고 1982년부터 LA한인회가 공식명칭이 됐다.     ▶1970년대 초반 정착기 1960년대 후반 한인사회에는 가발 업이 붐이었다. 또 국적 항공사의 LA 취항과 함께 본격적인 한인 이민자들이 몰려오기 시작했다. 1971년 4대 회장 선거에서 소니아 석 여사가 박준환 후보를 누르고 선출돼 최초의 여성 한인회장이 됐다. ‘여장부’로 알려진 석 회장은 부동산업에 종사했다. 하지만 이사진과의 불협화음으로 임기 3개월을 앞두고 자진해서 사퇴해 5인 대책위가 잔여 임기를 채웠다. 1972년 5대 회장 조지 최씨는 한인 부동산 업계 대부였다. 훗날 한인회관 건물 매입에도 깊이 관여했다. 최씨의 뒤를 이은 6대 회장 김종식씨는 한국화약 집안 출신이었다. 그는 회장직을 마친 뒤 귀국해 유정회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진출했다. 한인회장 출신 정치인 1호다.   ▶1970년대 중반 도약기 1974년 11월 16일과 17일 양일간에 걸쳐 실시된 7대 한인회장 선거에 양회직씨가 차기 회장으로 선출했다. 양 회장은 취임 직후 한인회관 매입에 박차를 가해 1975년 10월 8일 30만 달러 매입 절차를 마무리했다. 11월 22일에 역사적인 개관식을 가졌다. 현 한인회관 건물 구매를 둘러싼 유명한 일화가 있다. 1971년 4대 회장 소니아 석 여사가 1975년 청와대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각하, 한인회관 마련을 위한 돈 좀 주세요”라고 요청해 지원을 받아냈다. 석 여사 배포에 깊은 인상을 받은 박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15만 달러 지원을 약속했다. 이후 석 여사를 위원장으로 한인회관건립위원회가 구성돼 건물 물색에 나섰다. 당시 위원회 구성원 중 조지 최 전 회장은 웨스턴가의 현재 건물을, 석 여사는 윌셔가 건물, 상공회의소 측은 7가와 알바라도 길 건물을 원하는 등 의견충돌이 일어났다.   양회직 회장은 당시 LA총영사였던 박영씨에게 도움을 청했다. 박 총영사는 석 여사 등을 설득해 웨스턴가 건물 매입을 결정했다. 이후 30만 달러에 매입이 완료됐다.   ▶주류사회와 교류   1975년은 LA한인회가 최초로 LA 시장실과 공식 채널을 만든 해다. 주류사회와 첫 교류였다. 당시 양회직 회장은 LA 최초 흑인 시장 톰 브래들리와 만난 자리에서 LA에 한인이 약 8만명 거주한다며 시 차원의 관심을 촉구했다.   ▶1980~90년대 격동기 1980년대는 한국 민주화 운동 열기와 맞물려 한인회도 변화와 갈등의 시기를 겪었다. 12대 이민휘 회장은 친 박정희파로 분류돼 야당 지지자들과 대립했다. 또 12~15대 한인회는 잦은 내부 갈등과 부정선거 여파로 사실상 업무중단 사태에 빠졌다. 1984년 LA올림픽 때 한인사회가 한국 대표선수단을 지원하며 한인회도 힘을 보태 정상화되는 듯했다. 하지만 1987년 18대 회장 선거 당시 투표소에 경찰이 출동하는 등 갈등은 점차 심화했다.   이때부터 ‘LA한인회는 논란단체’라는 딱지가 붙었다. 툭하면 권력싸움을 하는 분열단체 이미지가 부각됐다. 한인사회 대표 단체장이 되기 위한 경쟁이 극에 달하면서 선거철마다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1992년 폭동 당시에는 특별히 한 게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20대 이종원 회장과 21대 김영태 회장은 21대 회장직을 놓고 소송전을 벌였다.   21대 김영태와 22대 장성길 회장은 퇴임 후 한국 국회의원 도전에 나섰지만 낙선했다. 1998년 24대 서영석 회장은 한인사회와 합심해 한국 국회에서 ‘재외동포 특례법’이 제정되도록 앞장섰다.   ▶21세기 한인회 2000년대 한인회는 회장 선출을 둘러싼 분쟁의 연속이었다. 2002년 26대 회장 선거는 출마 후보 간 자격 논쟁이 있었다. 28대 회장 선거 이후 한인회선거관리위원회는 매번 공정성 시비에 휘말렸다.   2010년 30대 회장 선거 때는 결과에 불복한 박요한씨가 다른 한인회를 출범하는 유례없는 해프닝을 벌였다. 결국 법원 판결에 따라 스칼렛 엄 회장이 이끌던 한인회가 계속 인정됐다. 29~35대 한인회장은 모두 무투표 당선돼 논란이 됐다.   ▶한인회의 미래 제임스 안 35대 회장은 최초의 풀타임 한인회장 기록을 세웠다. 봉사직이지만, 팬데믹으로 인한 한인들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봉사개념을 넘어 책임감을 갖고 SBA, EDD 등 전문적인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 위해 이사회에서 급여 개념 회장(CEO) 시스템을 정착했다.  안 회장은 “영어가 불편한 한인 분들은 무조건 한인회에서 도움받아야 한다. 언어 문제로 정부 재정 지원을 놓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면서 "팬데믹 기간에도 한인회를 통해 재정 지원을 받은 분이 무수히 많았다. 한인회는 앞으로도 계속 주류사회는 물론 다른 소수계 커뮤니티와도 연대를 강화해 중요한 정보를 상호교류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315페이지에 담은 50년 전 한인 역사 LA한인회 역사…반세기 세월 넘어 한인사회 대표 단체로 한인 업종 변화…식당 다양해지고 전문직은 더욱 세분화 독자 인터뷰…"읽을거리 없다는 말 듣지 않게 해달라" “업소 장수 비결은 고객서비스와 신용” “중앙일보 광고와 25년 영업 함께 했죠” “가족은 나의 힘…전국 최고 딜러로 우뚝 서겠다” “3대째 가업 잇는 자부심으로 진료합니다” 타운 경제의 산 역사, 디지털로 거듭난다 1972년 첫 업소록, 50년전 우리를 만나다 원용석 기자창간특집 한인회 한인회관 매입 약속 la한인회 한인회 역사

2022-09-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